학종 마지막 관문 ‘면접’ 내 역량 확실히 어필하려면? > 교육뉴스

본문 바로가기


교육뉴스

학종 마지막 관문 ‘면접’ 내 역량 확실히 어필하려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112.♡.231.155) 작성일19-10-03 20:49 조회220회 댓글0건

본문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지원자의 최종 합격 여부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평가 과정은 무엇일까? 바로, 면접이다. 대다수 대학이 1차 면접에서 3배수를 선발해 최종합격자를 가리지만, 충원에 대한 문제로 인해 대학에 따라서는 최대 5배수까지도 선발하고 있다. 예비번호까지 받는다면 합격 가능성도 존재하기 때문에, 면접을 실시하는 대학 전형에 지원한 수험생들은 누구나 할 것 없이 면접 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실제 면접장에선 어떤 일이?

면접은 서류에 드러나지 않는 지원자의 역량을 확인하기 위한 과정이다. 면접관은 지원자가 평가자와 질의 응답하는 과정을 통해 지원자의 가치관이나 태도, 자세 등을 보고 지원자의 논리력, 종합적 사고력, 의사소통능력 등을 확인한다. 면접 절차는 대학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보통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면접대상자 발표 – 면접대기실입실 - 면접 준비 – 면접 - 퇴실]

면접에서 좋은 결과를 얻으려면 바르고 성실한 자세와 단단하고 정돈된 논리로 자신의 의견을 명쾌하고 진솔하게 피력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면접 유형별 진행 방식

면접의 종류는 인성면접, 구술면접, 제시문 활용 면접 등이 있다. 인성면접은 주로 학생부에 기록된 내용을 확인하면서 학생의 태도나 자세를 보고 학생을 평가하는 비교적 간단한 유형이다.

구술면접에서는 학생이 교과중심 문제풀이형 지문을 풀고 난 뒤 말로 답변하는 방식이며, 풀이 결과가 평가에 중요하게 반영된다. 예를 들어, 수학과 구술면접에서는 면접관이 학생에게 ‘곡선에서 접선의 의미’, ‘연속함수의 정의’, ‘미분과 적분의 관계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등을 묻는다.

제시문 활용 면접에서는 제시문이 주어지긴 하지만 정해진 정답이 없고 다양한 답변이 가능하다. 면접관은 실제 현실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 사회문제, 전공관련 시사 이슈에 대해 학생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생각을 하게 된 근거를 교과서에서 배운 개념이나 이론을 활용해 논리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지를 주로 살핀다.



이렇게 하면 떨어진다!
‘면접 때 하지 말아야 할 3가지 행동’


면접 유형을 숙지하고 그에 맞는 대비를 한다고 해도 학생들이 면접을 두려워하는 것은 한 가지 이유에서다. 너무 긴장되기 때문이다. 가뜩이나 낯선 사람 앞에서 말하는 것도 익숙하지 않은데다, 자신의 대답이 틀리진 않을까, 생각지도 못한 질문을 받으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걱정이 앞선다.

이럴 때일수록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한다. 긴장을 하면 머리로는 아닌 것을 아는데 몸이 말을 듣지 않게 되고, 나도 모르게 면접 점수를 깎는 행동을 하게 된다. 마음을 다잡고 긴장감만 잘 다스려도 반은 성공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면접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지양해야 할 3가지 행동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을 마구잡이로 쏟아내는 식으로 답변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처음 답변과 마지막 답변이 일치하지 않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답변할 때 몸가짐을 바르게 하는 것이다. 긴장감이 온몸을 지배해 멘탈이 붕괴되는 사태에 이르러 이 모든 행동을 해버린다면 당연히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없다.

면접에서는 평가대상이 되는 학생들 누구나 긴장한다. 그러나 대학이 면접을 보는 이유는 말 잘하는 학생이나 표현력이 좋은 학생을 선발하기 위함이 아니다. 따라서 유려한 말솜씨를 뽐내려는 욕심을 부리기보다, 질문의 요지를 잘 파악하고 질문의 핵심내용을 성실하고 진솔하게 답하는 것이 좋은 인상을 남기는 최선의 길임을 명심하자.

 

추천 0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상단으로

TEL. 033-651-6719, 033-652-6719 FAX. 033-653-9998 강원도 강릉시 강릉대로 406 사단법인 강릉시학원연합회

Copyright © 강릉시학원연합회. All rights reserved.